오늘은 인간관계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모임에서 가져보았다.다들 한 어려움씩 했던 경험이 있었고, 나 또한 인간관계에서 언제나 어려움을 느꼈고 느낀다. 인간관계의 스타트부터 어려워했던 나는 남들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위치에 있었다. 학교폭력이나 왕따, 따돌림 혹은 가정폭력과 학대 등 어릴 때 어른도 감당하지 못할 어려움을 연약한 몸으로 오롯이 받아낸 사람들은 스타트부터가 다르다.
무슨 소리냐? 20살 꽃다운 나이로 대학에 들어와 또래를 사귀고 대학생활을 만끽하는 것이 지극히 정상적인 생활사였다면 위의 서술된 아픔을 겪은 사람들에겐 그림의 떡에 불과하다는 이야기다. 뇌피셜로 말해보자면이미 대인적으로 크게 위축된 시선으로 더 큰 세상으로 나오다 보니 세상이 넓어졌다 한들, 그리고 어려움도 저 멀리 날아갔다 한들 나는 여전히 위축되어 관계적 활동 반경이 크지 않았다.
어릴 때부터 숫기가 없었던 나인데, 어려움을 겪고 나서 행복하게 대학생활을 했느냐 묻느냐면 전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이 또 다른 기회가 되었긴 했지만 학과생활을 하는 또래들이 부럽기만 했고 지금도 그렇다. 다만 일반적인 인간관계는 부분적으로 분명히 내 책임도 존재한다. 그것을 좀 더 일찍 깨달아 성숙했으면 위축된 반경을 직시했을 텐데 그러지 못한 게 조금 아쉽긴 하다.
정반대로 사회생활을 하면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 그리고 인간관계에 학을 떼게 되는 사람들이 있는 데, 스타트가 불리해서 어느 정도 위축됨을 벗어났다 해도 여전히 내성적이거나 표현이 서툴거나 시선에 신경을 많이 쓰는 사람들은 불리한 게임을 나도 모르게 다시 진행하고 있다. 이 와중에 정말로 찐으로 함께하면 좋은 사람,즉 남을 사람을 남게 되고 갈 사람은 가게 된다. 모임을 통해서 얻은 교훈 중 하나다.
끼리끼리의 진리를 다시 언급해 본다. 그리고 이 단어는 나의 책임도 분명히 강조하고 있다. 내가 단단해야 단단한 사람이 함께 하게 된다. 내가 그렇지 않고서 퍼주기만 하는 친구를 원한다면 그게 과연 인간관계일까?예전에 다시 생각해 보게 된 한 가지는 "친구"라는 단어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였다. 내가 친구가 없다 해도 매번 만나는 사람이 있고 누가 봐도 친구라고 생각할 수 있는 데 나 스스로 친구의 조건을 달아버리고 그 조건에 해당하는 친구가 없다고 징징거렸던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